2024 강세진 국어 문제의원리(고전문학)개념/문제편(2개월이면 당신은 고전MASTER)(23년 7,8월)
- 강의소개
- 본 강의는 박문각 공무원 국어 강세진 교수님의 고전문학 심화이론 강의입니다.
- 수강대상
- 공무원 수험생
- 강의 목차
-
- 1강 23/07/10_[프린트] 문제의 원리 O.T 샘플보기 16분
- 2강 23/07/10_[교재] 고전문학(부록 - 구지가, 제망매가, 안민가) (p.280~282) 샘플보기 47분
- 3강 23/07/10_[교재] 고전문학(정읍사, 정과정) (p.283~284) 38분
- 4강 23/07/10_[교재] 고전문학 문제풀이(정과정), (서경별곡) (p.244~285) 52분
- 5강 23/07/12_[교재] 문제풀이 (서경별곡) (p.246~247) 50분
- 6강 23/07/12_[교재] 작품분석 (정석가, 동동)(1) (p.286~288) 44분
- 7강 23/07/12_[교재] 작품분석 (정석가, 동동)(2) (p.288~290) 39분
- 8강 23/07/12_[교재] 문제풀이 (p.248~489) 24분
- 9강 23/07/17_[교재] 작품편(4. 악장) (p.290~291) 46분
- 10강 23/07/17_[교재] 작품편(5. 시조(1), 강호가도(2), 사랑① (p.291~292) 47분
- 11강 23/07/17_[교재] 작품편(5. 시조(2), 사랑② 망국의 한(3)), 현대 이론 총정리 (p.293~) 58분
- 12강 23/07/17_[교재] 작품편(문제풀이 - 시조③) (p.254~) 33분
- 13강 23/07/19_[교재] 작품편(5. 시조-③ 망국의 한, ④ 절개) (p.294~295) 47분
- 14강 23/07/19_[교재] 작품편(5. 시조-④ 절개, ⑤ 묘, ⑥늙음) (p.295~296) 49분
- 15강 23/07/19_[교재] 작품편(5. 시조-⑥늙음, 문제풀이 ⑤) (p.258~296) 64분
- 16강 23/07/24_[교재] 작품편(7. 사설시조) (p.297~298) 43분
- 17강 23/07/24_[교재] 문제풀이①, 작품편(8. 사설시조 1~3) (p.250~299) 45분
- 18강 23/07/24_[교재] 문제풀이② (8. 사설시조 4~7) (p.252~301) 50분
- 19강 23/07/24_[교재] 문제풀이④ (p.256~) 31분
- 20강 23/07/26_[교재] 1. 이현보 <어부가> (p.260~) 70분
- 21강 23/07/26_[교재] 문제풀이(9. 연시조) 2. 윤선도 견회요, 문제풀이(10. 연시조) (p.262~) 75분
- 22강 23/07/26_[교재] 3. 윤선도 만흥 (p.262~) 43분
- 23강 23/07/31_[프린트] 윤선도 오우가 (p.24~25) [교재] (p.266) 45분
- 24강 23/07/31_[프린트] 안민영 매화사(p.41~43), [교재] 문제풀이 (p.266~271) 70분
- 25강 23/08/02_[교재] 상춘곡 (1) (p.272~) / [프린트] (p.2~3) 58분
- 26강 23/08/02_[교재] 상춘곡 (2) (p.272~) / [프린트] (p.4~5) 51분
- 27강 23/08/02_[교재] 면앙정가 (p.273~274) / [프린트] (p.6) 76분
- 28강 23/08/07_[교재] 사미인곡(1) (p.275~) 54분
- 29강 23/08/07_[교재] 사미인곡(2) (p.275~277) 66분
- 30강 23/08/07_[교재] 속미인곡 (p.277~279) 50분
- 31강 23/08/09_중간고사 오리엔테이션 3분
- 32강 23/08/09_[프린트1] 중간고사 1회 해설 64분
- 33강 23/08/09_[프린트2] 중간고사 2회 해설 56분
- 34강 23/08/14_[교재] 광문자전(1) (p.340~) 49분
- 35강 23/08/14_[교재] 광문자전(2)/ 민옹전(1) (p.340~342) 46분
- 36강 23/08/14_[교재] 민옹전(2)/ 양반전(1) (p.342~345) 48분
- 37강 23/08/14_[교재] 양반전(2) (p.345~346) 29분
- 38강 23/08/16_[교재] 박지원 - 호질 (p.349) 39분
- 39강 23/08/16_[교재] 김만중 - 구운몽 (p.349~351) 42분
- 40강 23/08/16_[교재] 김만중 - 사씨남정기 (p.352~353) 40분
- 41강 23/08/16_[교재] 김시습 - 이생규장전 (p.354~355) 42분
- 42강 23/08/21_[교재] 8. 심청전, 9.춘향전 (1) (p.356~359) 40분
- 43강 23/08/21_[교재] 9. 춘향전 (2), 10. 흥부전 (p.360~362) 48분
- 44강 23/08/21_[교재] 11. 금방울전, 12. 박씨전 (p.362~366) 67분
- 45강 23/08/23_[교재] 13. 이춘풍전 (p.366~368) 69분
- 46강 23/08/23_[교재] 14. 장끼전 (p.369~370) 45분
- 47강 23/08/23_[교재] 15. 전우치전, 16. 허균<홍길동전> (p.371~374) 53분
- 48강 23/08/28_[교재] 1. 이규보 - 이옥설 (p.375~376) 49분
- 49강 23/08/28_[교재] 2. 이곡 - 차마설 (p.377~378) 31분
- 50강 23/08/28_[교재] 3. 장유 - 곡목설 (p.379~381) 47분
- 51강 23/08/28_[교재] 4. 박지원 - 일야구도하기, 6. 이옥 - 어부 (p.382~388) 37분
- 52강 23/08/30_기말고사 1회 안내 2분
- 53강 23/08/30_기말고사 1회 해설 90분
- 54강 23/08/30_기말고사 2회 안내 1분
- 55강 23/08/30_기말고사 2회 해설 47분
- 교재소개
-
-
- 교재1 2022 강세진 논리 국어 : 문학과 해석
- 저자명 : 강세진
- 교재비 : 18,000(10%)
- 출판사 : 박문각
- 페이지수 : 44-
- 발행일 : 2021/09/15
교재특징■ 책소개
『2022 강세진 논리 국어 문학과 해석』은 강세진 논리 국어 시리즈 중 하나이다. 본서는 공무원 국어를 공부하는 수험생들을 위한 책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녔다.
1. 지식과 암기, 사고력 증진, 응용력 증진 세 가지 밸런스를 기를 수 있는 교재
2. 여러 유형의 문제를 풀 수 있는 실전 문제와 실전문제를 풀기 전 이론 복습, 실력 점검을 할 수 있는 연습문제 수록
3. 중요 고전 문학 작품과 고전 어휘를 모은 부록 수록
『2022 강세진 논리 국어 문학과 해석』은 오로지 지식만을 전달하기 위한 교재가 아닌, 그 상황에 알맞게 문제 유형을 검토하여 문제로 연습할 수 있는 교재로서, '사고력'과 '응용력'을 키우고 지식을 늘리기 위한 수험 목적의 공무원 국어 문학 기본서이다. 본 교재로 학습한다면 광범위한 문학 학습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수험생들의 고민을 단기간에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 출판사 리뷰
『2022 강세진 논리 국어 문학과 해석』은 기본 이론강의를 위한 수험서이다. 이론 파트 뒤에 나오는 연습문제를 통해 이론을 다시 한 번 학습할 수 있고, 실전문제를 통해 이론을 점검하며, 문제 접근 방식까지 배울 수 있다. 특히 문제 접근 방식은 시험을 처음 경험하는 학생들을 위한 초석이 될 것이다. 또한 이 교재를 통해 수험생들은 문학 이론뿐만 아니라 문학 작품까지 제대로 그리고 확실하게 하나씩 배울 수 있을 것이다.
교재목차Part 1. 문학 이론
Chpater 01 문학 감상법
1. 문학 감상법
2. 운문 문학 감상법
3. 산문 문학 감상법
Chapter 02 운문 이론
1. 의사소통 구조
2. 운율
3. 이미지(=심상)
4. 비유와 상징
5. 다양한 표현법
6. 시상 전개 방식
7. 개념어 정리
03 산문 이론
1. 시점(=서술자)
2. 제시 방식과 인물
3. 갈등 구조
4. 구성 방식
5. 배경
6. 문체와 표현
7. 극, 시나리오
8. 개념어 정리
Part 2 문학사
Chpater 01 현대 문학사
1. 개화기
2. 1910년대
3. 1920년대
4. 1930년대
5. 1940년대
6. 광복 직후
7. 1950년대
8. 1960년대
9 1970년대
Chapter 02 고전 문학사
1. 한국 문학
2. 갈래
- 고대 가요
- 향가
- 경기체가
- 고려 가요
- 한문학
- 악장
- 시조
- 가사
- 잡가
- 민요
Part 3. 문학 작품론
Chapter 01 현대시
1. 강은교, <우리가 물이 되어>
2. 고은, <눈길>
3. 김광규, <대장간의 유혹>
4. 김광규, <상행>
5. 김광균, <추일서정>
6. 김현승, <플라타너스>
7. 박두진, <향현(香峴)>
8. 박재삼, <추억에서>
9. 박재삼, <흥부 부부상>
10. 서정주, <꽃밭의 독백>
11. 서정주, <외할머니의 뒤안 툇마루>
12. 서정주, <추천사>
13. 신경림, <농무>
14. 신동엽, <껍데기는 가라>
15. 윤동주, <또 다른 고향>
16. 윤동주, <쉽게 씌어진 시>
17. 이육사, <광야>
18. 정일근, <어머니의 그륵>
19. 정희성, <저문 강에 삽을 씻고>
20. 최두석, <성에꽃>
21. 한용운, <알 수 없어요>
22. 황지우, <너를 기다리는 동안>
23. 황지우, <겨울-나무로부터 봄-나무에로>
Chapter 02 고전 시가
1. 정서, <정과정>
2. 작자 미상, <서경별곡(西京別曲)>
3. 작자 미상, <동동(動動)>
4. 시조 모음 ①
5. 시조 모음 ②
6. 시조 모음 ③
7. 시조 모음 ④
8. 시조 모음 ⑤
9. 이현보, <어부단가(漁父短歌)>
10. 이현보, <견회요(遣懷謠)>
11. 윤선도, <만흥(漫興)>
12. 윤선도, <오우가(五友歌)>
13. 윤선도,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14. 안민영, <매화사(梅花飼>
15. 정극인, <상춘곡(賞春曲)>
16. 송순, <면앙정가(勉仰亭歌)>
17. 정철, <사미인곡(思美人曲)>
18. 정철, <속미인곡(續美人曲)>
[부록] 주요 작품 정리
[부록] 주요 어휘 정리
Chapter 03 현대 소설
1. 김동리, <역마>
2. 김소진, <자전거 도둑>
3. 김유정, <만무방>
4. 문순태, <징소리>
5. 박태원,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
6. 성석제, <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
7. 윤흥길,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8. 윤흥길, <장마>
9. 이상, <날개>
10. 이청준, <눈길>
11. 이태준, <돌다리>
12. 임철우, <눈이 오면>
13. 임철우, <사평역>
14. 임철우, <아버지의 땅>
Chapter 04 고전 소설
1. 박지원, <광문자전>
2. 박지원, <민옹전>
3. 박지원, <양반전>
4. 박지원, <호질>
5. 김만중, <구운몽>
6. 김만중, <사씨남정기>
7. 김시습, <이생규장전>
8. 작자 미상, <심청전>
9. 작자 미상, <춘향전>
10. 작자 미상, <흥부전>
11. 작자 미상, <금방울전>
12. 작자 미상, <박씨전>
13. 작자 미상, <이춘풍전>
14. 작자 미상, <장끼전>
15. 작자 미상, <전우치전>
16. 허균, <홍길동전>
Chapter 05 수필/극
1. 이규보, <이옥설(理屋說)>
2. 이곡, <차마설(借馬說)>
3. 장유, <곡목설(§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