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7급 이준 마법 교정학&형사정책(24년9,10월)
- 강의소개
- 본 강의는 박문각공무원 교정학 이준 교수님의 심화이론 과정입니다.
- 강의내용 및 특징
-
● 이론 및 법령 수업을 통한 꼼꼼한 이해식 학습법
● 어렵다고 느끼는 교정학과 형사정책을 아주 쉽게 이해하는 학습
- 수강대상
- ● 7,9급 교정직 및 보호직, 승진대비
- 강의 목차
-
- 1강 24/09/09_오리엔테이션/ [교재] 교정론 목차 샘플보기 62분
- 2강 24/09/09_[교재] 제1편 1장 1절 교정과 교정학 (p.16~25) 26분
- 3강 24/09/09_[교재] 제1편 1장 2절 범죄인 처우유형과 처우원리 (p.27~40) 61분
- 4강 24/09/10_오리엔테이션(형사정책) 34분
- 5강 24/09/10_[교재] 제1편 1장 1절 형사정책학과 범죄학 (p.14~23) 38분
- 6강 24/09/10_[교재] 제1편 3장 2절 형사정책학의 연구방법 (p.26~40) 37분
- 7강 24/09/10_[교재] 제2편 범죄원인론 개관 (p.46~) 34분
- 8강 24/09/23_[교재] 제1편 2장 6절 범죄인 처우의 새로운 동향 (p.40~61) 57분
- 9강 24/09/23_[교재] 제1편 4장 교정시설의 이해 (p.66~77) 44분
- 10강 24/09/23_[교재] 제1편 5장 03.교도소화와 수형자 문화 (p.78~101) 51분
- 11강 24/09/24_[교재] 제2편 범죄원인론 개관(2) (p.46~) 34분
- 12강 24/09/24_[교재] 제2편 4장 고전주의 (p.46~59) 37분
- 13강 24/09/24_[교재] 제2편 5장 초기 실증주의와 범죄유형론 (p.63~86) 43분
- 14강 24/09/24_[교재] 제2편 6장 2절 신체적 특징과 범죄 (p.87~97) 30분
- 15강 24/09/30_[교재] 제2편 7장 교정행정조직과 교도관의 직무 (p.106~113) 54분
- 16강 24/09/30_[교재] 제2편 7장 2절 교도관의 직무 (p.115~143) 42분
- 17강 24/09/30_[교재] 제2편 9장 02 수용절차 (p.145~172) 54분
- 18강 24/10/01_[교재] 제2편 7장 개인적 범죄원인론(2) 심리·성적 요인 (p.103~110) 32분
- 19강 24/10/01_[교재] 제2편 7장 3절 성격특성과 범죄원인 (p.110~129) 48분
- 20강 24/10/01_[교재] 제2편 8장 3절 사회적 긴장이론 내지 아노미이론 (p.131~146) 57분
- 21강 24/10/07_[교재] 제2편 10장 2절 03 전달금품 (p.172~187) 50분
- 22강 24/10/07_[교재] 제2편 12장 접견·편지·전화통화 (p.189~208) 46분
- 23강 24/10/07_[교재] 제2편 13장 종교와 문화 (p.212~230) 61분
- 24강 24/10/08_[교재] 제2편 9장 사회적 범죄원인론(미시) (p.150~159) 48분
- 25강 24/10/08_[교재] 제2편 9장 2절 03 레크리스의 봉쇄이론 (p.159~167) 38분
- 26강 24/10/08_[교재] 제2편 9장 3절 낙인이론 (p.169~184) 37분
- 27강 24/10/08_[교재] 제2편 10장 3절 급진적 갈등론 (p.184~187) 19분
- 28강 24/10/14_[교재] 제2편 15장 계호와 엄중관리 (p.234~248) 47분
- 29강 24/10/14_[교재] 제2편 16장 교정장비와 강제력행사 (p.251~262) 55분
- 30강 24/10/14_[교재] 제2편 16장 3절 02 무기 사용 (p.263~280) 44분
- 31강 24/10/15_[교재] 제2편 11장 발달범죄이론 (p.189~201) 38분
- 32강 24/10/15_[교재] 제2편 12장 범죄 현상론 (p.201~228) 38분
- 33강 24/10/15_[교재] 제2편 13장 3절 범죄피해이론 (p.229~247) 55분
- 34강 24/10/21_[교재] 제2편 17장 2절 05 징벌의 종류와 부과절차 (p.280~323) 94분
- 35강 24/10/21_[교재] 제4편 20장 수형자 분류와 누진처우 제도 (p.330~348) 52분
- 36강 24/10/22_[교재] 제3편 15장 비범죄화론 (p.251~265) 51분
- 37강 24/10/22_[교재] 제4편 16장 1절 04 상황적 범죄이론 (p.266~297) 45분
- 38강 24/10/22_[교재] 제4편 19장 3절 재산형제도 (p.302~321) 32분
- 39강 24/10/22_[교재] 제5편 22장 소년사법론 (p.436~466) 54분
- 40강 24/10/28_[교재] 제4편 22장 수형자 처우등급제도 (p.352~371) 51분
- 41강 24/10/28_[교재] 제4편 23장 2절 교정상담과 교화프로그램 (p.373~388) 40분
- 42강 24/10/28_[교재] 제4편 24장 2절 교도작업 법제 (p.390~441) 63분
- 43강 24/10/29_[교재] 제5편 23장 3절 보호소년 등의 처우에 관한 법률 (p.471~502) 48분
- 44강 24/10/29_[교재] 제4편 20장 보안처분론 (p.326~353) 51분
- 45강 24/10/29_[교재] 제4편 21장 1절 08 보호장구 (p.354~368) 42분
- 46강 24/10/29_[교재] 제4편 21장 2절 05 소환, 이송 (p.369~379) 21분
- 47강 24/11/04_[교재] 제5편 27장 1절 가석방제도 (p.442~466) 53분
- 48강 24/11/04_[교재] 제5편 28장 지역사회교정 (p.467~512) 61분
- 49강 24/11/05_[교재] 제4편 21장 3절 전자장치부착법 (p.382~398) 66분
- 50강 24/11/05_[교재] 제4편 21장 4절 성충동 약물치료법 (p.401~413) 27분
- 51강 24/11/05_[교재] 제4편 21장 5절 스토킹처벌법 (p.417~423) 23분
- 교재소개
-
-
- 교재1 2025 박문각 공무원 아담 교정학 기본서
- 저자명 : 이언담, 이준
- 교재비 : 32,400(10%)
- 출판사 : 박문각
- 페이지수 : 552
- 발행일 : 2024/05/16
교재특징
■ 책소개
25년을 선도해온 교정학 수험 기본서 <2025 박문각 공무원 아담 교정학 기본서>의 특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교정직 7·9급 공채, 경채(특채) 및 승진대비 교정학 기본서의 기능 최적화
경채와 승진시험의 부활을 계기로, 공채를 비롯한 경채와 각급 승진시험에 필요한 내용을 한 권에 체계적으로 담았습니다. 그 결과 2023 7급, 2024 9급 및 각급 승진시험에서 100% 출제반영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 핵심정리 및 구조화·도식화로 기본서 내 요약서 기능
분량이 방대한 기본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단기간에 전체 요약학습이 가능하도록 [핵심정리]를 만들고, 복잡한 내용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구조화·도식화하여 학습의 효율성을 배가시켰습니다.
▶ 상세한 기출표기, 최신법령, 판례 및 기출문제를 빠짐없이 반영
기출영역을 상세히 표기하여 내용의 중요도를 한눈에 파악하면서 혼자서도 공부가 가능할 만큼 핵심키워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보강하였습니다. 또한 최신개정법령, 새로운 판례 및 2024년 기출문제까지 빠짐없이 반영하여 안심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 네이버카페와 유튜브를 활용한 보다 적극적인 학습환경 제공
학원에서의 체계적이고 밀도 높은 저자 직강은 물론, 새로운 기출문제, 개정법령과 판례 등을 빠르고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카페와 유튜브(아담아카데미)를 개설하여 능동적인 쌍방향 정보제공 서비스체제를 갖추었습니다.
<2025 박문각 공무원 아담 교정학 기본서>를 통해 많은 수험생들이 효율적인 학습으로 단기간에 고득점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 출판사 리뷰
「2025 박문각 공무원 아담 교정학 기본서」는 교정직 7·9급 공채 및 각급 승진 시험대비 교정학 기본서이다. 최신 법령을 빠짐없이 반영하여 수록했으며, 광범위한 이론 및 법령을 간결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또한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내용을 [핵심정리] 및 표로 도식화하였고, 이론과 관련한 최신 기출문제를 수록하여 실전에 대비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단원별로 빈칸 채우기 및 ox문제를 수록하여 이론을 확실히 암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독학이 가능할 만큼 핵심 키워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보강하고, 최신 개정 법령, 새로운 판례 및 2024년 최신 기출문제까지 빠짐없이 반영하였다. 「2025 박문각 공무원 아담 교정학 기본서」를 통해 학습한다면, 단시간 내에 충분히 원하는 점수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교재목차■ 목차
[제1편 교정일반론]
제1장 교정의 기초개념
제1절 교정과 교정학
제2절 형벌과 교정학의 발전
제2장 범죄인 인식과 처우이론
제1절 범죄의 원인과 처벌의 정당성
제2절 범죄인 처우유형과 처우원리
제3절 구금모델(처벌모델)
제4절 교화개선모델
제5절 정의모델
제6절 범죄인 처우의 새로운 동향: 회복적 사법
제3장 우리나라 교정의 역사
제1절 고대의 행형
제2절 조선시대의 행형
제3절 근대적 행형
제4장 교정시설의 이해
제1절 교정시설
제2절 우리나라의 교정시설
제5장 수형자사회의 연구와 교도소화
제1절 수형자사회의 연구
제2절 교도소화
제3절 교도관의 사회
제6장 수형자 처우제도(자치제와 선시제도, 과밀수용)
제1절 수형자 자치제도와 카티지제
제2절 선시제도
제3절 펜실베니아제도와 오번제도
제4절 과밀수용의 문제
[제2편 수용자 처우와 관리(공통처우)]
제7장 교정행정조직과 교도관의 직무
제1절 교정행정조직
제2절 교도관의 직무
제8장 형집행법의 이해
제1절 형집행법 의의와 발전
제2절 형집행법 총칙
제9장 수용과 이송
제1절 교정시설에의 수용
제2절 현행법상 수용원칙
제3절 수용자의 이송
제10장 물품지급과 금품관리
제1절 생활품의 지급
제2절 보관금품관리
제11장 위생과 의료
제1절 개 관
제2절 보건위생
제3절 건강검진과 진료
제4절 환자관리
제12장 접견·편지·전화통화
제1절 수용자의 접견
제2절 편지수수
제3절 전화통화
제13장 종교와 문화
제1절 종 교
제2절 문 화
제14장 특별한 보호
제1절 여성수용자
제2절 노인수용자
제3절 장애인수용자
제4절 외국인수용자
제5절 소년수용자
제6절 미성년 자녀의 보호조치
제15장 계호와 엄중관리
제1절 계 호
제2절 금지물품과 검사
제3절 엄중관리대상자
제16장 교정장비와 강제력행사
제1절 교정장비
제2절 강제력 행사와 보안장비 사용
제3절 보호실·진정실 수용과 무기사용
제4절 재난 시의 조치 등
제17장 규율과 상벌 및 형사벌칙
제1절 상우제도와 징벌
제2절 현행법령상 징벌제도
제3절 형사벌칙 제도
제18장 수용자 권리구제
제1절 수용자 인권의식의 발달
제2절 수용자 권리의 내용
제3절 수용자 권리구제 실제
[제3편 미결수용자 및 사형확정자의 처우]
제19장 미결수용자와 사형확정자의 처우
제1절 미결수용자의 처우
제2절 사형확정자의 처우
[제4편 수형자의 처우]
제20장 수형자 분류와 누진처우제도
제1절 수형자 분류제도
제2절 누진처우제도
제21장 분류심사제도 법제
제1절 처우원칙과 분류심사
제2절 분류조사와 분류검사
제22장 수형자 처우등급제도
제1절 시설등급과 처우등급
제2절 경비처우급의 조정과 처우
제23장 교육과 교화프로그램
제1절 교정교육
제2절 교정상담과 교화프로그램
제24장 교도작업과 직업훈련
제1절 교도작업 개요
제2절 교도작업 법제
제3절 교도작업 특별회계
제4절 직업훈련과 취업지원
제25장 사회적 처우(개방처우)
제1절 사회적 처우 개요
제2절 개방처우 종류
제26장 처우의 종료: 수용자의 석방과 사망
제1절 수용자 석방
제2절 사 망
[제5편 사회내 처우(지역사회교정)]
제27장 전통적 사회 내 처우(가석방, 보호관찰, 갱생보호)
제1절 가석방제도
제2절 보호관찰과 갱생보호제도
제28장 지역사회교정(중간처우, 중간처벌제도)
제1절 지역사회교정의 발전
제2절 중간처우
제3절 중간처벌제도
[제6편 민간자원의 교정참여]
제29장 민간인의 교정참여
제1절 외부인사의 교정참여
제2절 교정위원제도
제3절 기부금품의 접수 및 영수증 발급
제30장 민영교도소
제1절 개 요
제2절 민영교도소 등의 설치·운영에 관한 법률
[제7편 교정관련 판례]
제31장 교정관련 판례
제1절 헌법소원의 요건 §More§ -
-
- 교재2 2025 박문각 공무원 아담 형사정책 기본서
- 저자명 : 이언담, 이준
- 교재비 : 30,600(10%)
- 출판사 : 박문각
- 페이지수 : 536
- 발행일 : 2024/05/16
교재특징
■ 책소개
25년을 함께 해온 국내 최장수 형사정책 수험 기본서인 <2025 아담 형사정책 기본서>는 최신법령과 판례를 빠짐없이 반영하여 새롭게 출간되었습니다.
▶ 보호직 7·9급 공채 및 5급 승진에 최적화된 기본서
교정학의 한 분야로 머물렀던 형사정책학이 2024년 보호직 9급 필수 과목이 되었습니다. 이에 내용과 형식을 대폭 보강하여 수험교재로 최적화했습니다.
▶ 핵심정리 및 구조화·도식화로 기본서와 함께 요약서 기능 병행
방대한 기본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단기간에 전체 요약학습이 가능하도록 '핵심정리'란을 만들고, 복잡한 내용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구조화·도식화하여 학습의 효율성을 배가시켰습니다.
▶ 상세한 기출표기, 최신법령, 판례 및 기출문제를 빠짐없이 반영
기출영역을 상세히 표기하여 내용의 중요도를 한눈에 파악하면서 혼자서도 공부가 가능할 만큼 핵심키워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보강하고, 최신개정법령, 새로운 판례 및 2024년 기출문제까지 빠짐없이 반영하여 안심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 공부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확인학습'
학습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빈칸채우기'와 'OX체크'를 수록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학습한 내용을 복습함과 동시에 주요 핵심 개념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 네이버카페와 유튜브를 활용한 적극적인 학습환경 제공
학원에서의 저자 직강과 새로운 기출문제, 개정법령과 판례 등을 빠르고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카페와 유튜브(아담아카데미)를 개설하였습니다. 이를 활용하여 최신 자료들을 빠르게 학습하시길 바랍니다.
<205 아담 형사정책 기본서>를 통해 많은 수험생들이 효율적인 학습으로 단기간에 고득점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 출판사 리뷰
<2025 아담 형사정책 기본서>는 7급·9급 교정직 및 5급 승진시험을 대비하기 위한 형사정책 기본서입니다. 이 교재는 광범위한 이론 및 법령을 간결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하였고, 최신 개정 법령과 새로운 판례 및 2024년 기출문제까지 반영하였으며, 빈칸채우기와 OX문제 등을 수록하였습니다. <2025 아담 형사정책 기본서>를 통해 학습하신다면, 한 권으로도 충분히 합격을 위한 강력한 도구가 될 것임을 확신하며 여러분의 합격을 기원합니다.
교재목차■ 목차
제1편 형사정책 일반론
제1장 형사정책학의 발전
제1절 형사정책학과 범죄학
제2절 형사정책학의 변천
제3절 형사정책학의 연구대상 및 특성
제2장 형사정책의 국제성
제1절 개 요
제2절 국제범죄에 대한 대응
제3장 형사정책학의 연구방법론
제1절 경험과학과 실증적 연구
제2절 형사정책학의 연구방법
제3절 형사정책학의 연구방향
제4절 공식통계자료와 암수범죄
제5절 암수범죄의 측정방법
제2편 범죄원인론
제4장 고전주의
제1절 범죄원인에 대한 인식
제2절 고전주의
제3절 형법개혁운동
제4절 현대적 고전학파
제5절 고전학파의 공적과 한계
제5장 초기 실증주의와 범죄유형론
제1절 과학주의와 결정론
제2절 이탈리아의 초기 실증주의
제3절 초기 범죄사회학적 실증주의
제4절 독일 및 오스트리아의 초기 실증주의
제5절 범죄유형론
제6장 개인적 범죄원인론(1): 생물학적 요인
제1절 서 론
제2절 신체적 특징과 범죄
제3절 체형과 범죄
제4절 유전과 범죄
제5절 기타 생물학적 범죄원인 규명
제7장 개인적 범죄원인론(2): 심리·성격적 요인
제1절 서 론
제2절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
제3절 성격특성과 범죄원인
제4절 정신병리적 결함과 범죄
제8장 사회적 범죄원인론(거시)
제1절 사회범죄론 개관
제2절 사회해체이론 내지 문화전달론
제3절 사회적 긴장이론 내지 아노미이론
제4절 범죄적 하위문화이론
제9장 사회적 범죄원인론(미시)
제1절 학습이론
제2절 통제이론
제3절 낙인이론
제10장 갈등론적 범죄론(비판범죄론)
제1절 개 관
제2절 보수적 갈등론
제3절 급진적 갈등론
제11장 발달범죄이론
제1절 개 요
제2절 잠재적 특질이론
제3절 발달범죄학
제4절 통합이론
제12장 범죄 현상론
제1절 지역사회의 환경과 범죄
제2절 시간적 환경과 범죄
제3절 경제환경과 범죄
제4절 문화갈등과 범죄
제5절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범죄
제6절 기타 개별인자와 범죄
제3편 범죄피해자
제13장 피해자학
제1절 피해자와 피해자학
제2절 범죄피해자의 분류
제3절 범죄피해이론
제14장 피해자 보호
제1절 개 요
제2절 「범죄피해자 보호법」상 범죄피해자 보호 및 보상제도
제3절 「소송촉진 등에 관한 특례법」상 배상명령제도
제15장 비범죄화론
제1절 비범죄화와 신범죄화
제2절 다이버전
제3절 경미범죄에 대한 형사정책
제4편 범죄대책과 형사제재
제16장 범죄예방
제1절 개 관
제2절 범죄방지활동
제17장 범죄예측
제1절 개 요
제2절 형사사법 각 단계별 범죄예측
제3절 예측방법의 분류와 한계
제18장 형벌론
제1절 형벌이론
제2절 양형의 합리화와 판결 전 조사제도
제19장 형벌의 종류
제1절 사형제도
제2절 자유형제도
제3절 재산형제도
제4절 명예형제도
제5절 각종 유예제도
제6절 형의 실효
제7절 사면제도
제20장 보안처분론
제1절 의의와 연혁
제2절 보안처분의 발달
제3절 형벌과 보안처분의 관계
제4절 보안처분과 관련법령
제21장 보안처분 주요 5법
제1절 보호관찰 등에 관한 법률
제2절 치료감호 등에 관한 법률
제3절 전자장치 부착 등에 관한 법률
제4절 성폭력범죄자의 성충동 약물치료에 관한 법률
제5절 스토킹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5편 소년사법 정책론
제22장 소년사법론
제1절 개 관
제2절 소년사법의 현대적 동향과 처우모델
제23장 소년사법 관계법령
제1절 소년법 개요
제2절 소년법
제3절 보호소년 등의 처우에 관한 법률
제4절 청소년 보호법
제5절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6편 판 례
제24장 형사정책 관련 판례
제1절 헌법재판소 판례
제2절 대법원 판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