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교재1
2024 박문각 공무원 노범석 한국사 필기노트
- 저자명 : 노범석
- 교재비 :
16,200(10%)
- 출판사 : 박문각
- 페이지수 : 192
- 발행일 : 2023/11/06
교재특징
■ 책소개
공무원 한국사 시험을 단번에 끝장낼 수 있도록 도와주는 2024 박문각 공무원 노범석 한국사 필기노트를 소개합니다.
▶ 수험생을 고려한 세로형 필기노트!!
기존의 한국사 필기노트들은 강의 판서를 옮겨 놓은 형태인 가로 형태로, 수험생이 보기에 불편했습니다. 이를 대신해 2024 노범석 한국사 필기노트는 교재를 세로 형태로 출간하여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 필기노트 속 필기노트, 해법 요람
간추린 해법 요람을 통해 기본적인 주요 내용을 이해하고, 시험 직전에 빠르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
▶ 복잡하지 않은 단순한 구성으로 가독성을 높인 본문
기본 내용은 검정, 중요 내용은 빨강, 심화 내용은 파랑, 부연 설명은 갈색 필기체를 활용하여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본문을 구성하였습니다.
▶ 놓치기 쉬운 주제·개념을 꼼꼼히 챙긴 포스트잇과 해법 코드 미니 강의
필수 내용 및 심화 내용, 시험에 자주 나오는 중요 사료를 수록하였습니다. 또한 QR 코드를 활용해 교재만으로는 채워지지 않는 부분을 영상을 통해 학습할 수 있도록 알차게 구성하였습니다.
교재목차
■ 목차
부록 지역사와 문화재 한방에 다잡기
1막 한국사의 바른 이해와 선사 문화
1장 한국사의 연구와 선사 시대
1강 선사 시대
2강 고조선의 건국과 발전
3강 여러 나라의 성장
2막 고대 사회의 발전
1장 고대의 정치적 발전
1강 삼국의 정치적 발전
2강 삼국의 대외 관계와 삼국 통일
3강 남북국 시대의 정치
2장 고대의 경제와 사회
1강 고대의 경제 정책과 경제 생활
2강 고대의 사회
3막 중세 사회의 발전
1장 중세의 정치적 변천
1강 중세 사회의 성립과 고려 전기의 국왕
2강 문벌 귀족 사회의 성립과 대외 관계
3강 무신 정변과 몽골의 침입
4강 고려 후기의 정치 변동
2장 중세의 경제와 사회
1강 중세의 경제 정책과 경제 활동
2강 고려의 사회
4막 근세 사회의 발달
1장 근세 정치 변화와 통치 체제의 정비
1강 근세 사회의 성립과 정치 체제의 확립
2강 사림의 대두와 붕당의 형성
3강 조선의 대외 관계와 양난의 극복
2장 근세의 경제와 사회
1강 근세의 경제
2강 근세의 사회
5막 근대 태동기의 변화
1장 근대 태동기의 정치
1강 전근대 제도사
2강 붕당 정치의 변질과 탕평 정치
3강 세도 정치와 조선 후기 대외 관계
2장 근대 태동기의 경제와 사회
1강 근대 태동기의 경제
2강 근대 태동기의 사회
6막 전근대 문화사
1장 전근대 불교
2장 전근대 유학(+성리학, 실학)
3장 기타 신앙
4장 역사서
5장 전근대 과학 기술의 발달
6장 한글 창제와 각종 서적 편찬
7장 전근대 예술
8장 고대 국가의 문화 교류
부록 유네스코에서 지정한 문화유산 총정리
부록 조선 시대 한양 도성 총정리
부록 조선의 궁궐 총정리
7막 근대 사회의 전개
1장 외세의 침략적 접근과 개항
1강 흥선 대원군의 개혁 정책
2강 개항과 불평등 조약 체결
3강 위정척사와 개화
4강 임오군란과 갑신정변
2장 구국 민족 운동의 전개
1강 동학 농민 운동의 전개
2강 갑오개혁과 을미개혁
3강 독립 협회와 대한 제국
4강 일제의 침략과 국권 피탈
5강 항일 의병과 애국 계몽 운동
4장 개항 이후의 경제·사회·문화
1강 열강의 경제 침탈과 경제적 구국 운동의 전개
2강 사회 구조와 의식의 변화
3강 언론의 발달과 근대 문물의 수용
4강 근대 문화의 형성
8막 일제의 침략과 민족의 독립운동
1장 일제 식민 통치와 민족의 수난
1강 식민 통치 체제의 구축과 경제 수탈
2강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
2장 국내외 항일 운동
1강 국내의 항일 운동
2강 무장 독립 전쟁의 전개
3장 일제 강점기의 경제·사회·문화
1강 일제 강점기의 경제·사회
2강 일제 강점기의 문화
9막 현대 사회의 발전
1장 광복과 대한민국의 수립
1강 8·15 광복과 대한민국의 수립
2강 6·25 전쟁
2장 민주주의의 시련과 발전
1강 4·19 혁명과 민주주의의 성장
2강 민주화 운동과 민주주의의 발전
3장 평화 통일과 경제·사회의 변화
1강 통일 정책과 북한의 변화
2강 경제 발전과 사회·문화의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