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1. 문학 이론
Chpater 01 문학 감상법
1. 문학 감상법
2. 운문 문학 감상법
3. 산문 문학 감상법
Chapter 02 운문 이론
1. 의사소통 구조
2. 운율
3. 이미지(=심상)
4. 비유와 상징
5. 다양한 표현법
6. 시상 전개 방식
7. 개념어 정리
03 산문 이론
1. 시점(=서술자)
2. 제시 방식과 인물
3. 갈등 구조
4. 구성 방식
5. 배경
6. 문체와 표현
7. 극, 시나리오
8. 개념어 정리
Part 2 문학사
Chpater 01 현대 문학사
1. 개화기
2. 1910년대
3. 1920년대
4. 1930년대
5. 1940년대
6. 광복 직후
7. 1950년대
8. 1960년대
9 1970년대
Chapter 02 고전 문학사
1. 한국 문학
2. 갈래
- 고대 가요
- 향가
- 경기체가
- 고려 가요
- 한문학
- 악장
- 시조
- 가사
- 잡가
- 민요
Part 3. 문학 작품론
Chapter 01 현대시
1. 강은교, <우리가 물이 되어>
2. 고은, <눈길>
3. 김광규, <대장간의 유혹>
4. 김광규, <상행>
5. 김광균, <추일서정>
6. 김현승, <플라타너스>
7. 박두진, <향현(香峴)>
8. 박재삼, <추억에서>
9. 박재삼, <흥부 부부상>
10. 서정주, <꽃밭의 독백>
11. 서정주, <외할머니의 뒤안 툇마루>
12. 서정주, <추천사>
13. 신경림, <농무>
14. 신동엽, <껍데기는 가라>
15. 윤동주, <또 다른 고향>
16. 윤동주, <쉽게 씌어진 시>
17. 이육사, <광야>
18. 정일근, <어머니의 그륵>
19. 정희성, <저문 강에 삽을 씻고>
20. 최두석, <성에꽃>
21. 한용운, <알 수 없어요>
22. 황지우, <너를 기다리는 동안>
23. 황지우, <겨울-나무로부터 봄-나무에로>
Chapter 02 고전 시가
1. 정서, <정과정>
2. 작자 미상, <서경별곡(西京別曲)>
3. 작자 미상, <동동(動動)>
4. 시조 모음 ①
5. 시조 모음 ②
6. 시조 모음 ③
7. 시조 모음 ④
8. 시조 모음 ⑤
9. 이현보, <어부단가(漁父短歌)>
10. 이현보, <견회요(遣懷謠)>
11. 윤선도, <만흥(漫興)>
12. 윤선도, <오우가(五友歌)>
13. 윤선도,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14. 안민영, <매화사(梅花飼>
15. 정극인, <상춘곡(賞春曲)>
16. 송순, <면앙정가(勉仰亭歌)>
17. 정철, <사미인곡(思美人曲)>
18. 정철, <속미인곡(續美人曲)>
[부록] 주요 작품 정리
[부록] 주요 어휘 정리
Chapter 03 현대 소설
1. 김동리, <역마>
2. 김소진, <자전거 도둑>
3. 김유정, <만무방>
4. 문순태, <징소리>
5. 박태원,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
6. 성석제, <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
7. 윤흥길,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8. 윤흥길, <장마>
9. 이상, <날개>
10. 이청준, <눈길>
11. 이태준, <돌다리>
12. 임철우, <눈이 오면>
13. 임철우, <사평역>
14. 임철우, <아버지의 땅>
Chapter 04 고전 소설
1. 박지원, <광문자전>
2. 박지원, <민옹전>
3. 박지원, <양반전>
4. 박지원, <호질>
5. 김만중, <구운몽>
6. 김만중, <사씨남정기>
7. 김시습, <이생규장전>
8. 작자 미상, <심청전>
9. 작자 미상, <춘향전>
10. 작자 미상, <흥부전>
11. 작자 미상, <금방울전>
12. 작자 미상, <박씨전>
13. 작자 미상, <이춘풍전>
14. 작자 미상, <장끼전>
15. 작자 미상, <전우치전>
16. 허균, <홍길동전>
Chapter 05 수필/극
1. 이규보, <이옥설(理屋說)>
2. 이곡, <차마설(借馬說)>
3. 장유, <곡목설(曲木說)>
4. 박지원, <일야구도하기(一夜九渡河記)>
5. 임춘, <국순전(麴醇傳)>
6. 이옥, <어부(魚賦)>
7. 이강백, <파수꾼>
8. 천승세, <만선>
문학 작품론 정답 및 해설
더보기